더블딥(double dip recession) 혹은 W자형 불황(W-shaped recession)은 경제가 불황으로부터 벗어나 짧은 기간의 성장을 기록한 뒤, 얼마 지나지 않고 다시 불황에 빠지는 현상이다.
미국의 1980년대 초기의 불황은 더블딥의 전형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. 전미경제연구소는 미국에서 1980년대 초반에 두 번의 불황이 일어났었다고 여긴다. 미국의 경제는 1980년 1월부터 7월까지 불황에 빠져 있었고, 그 후 빠른 성장을 기록했다. 1981년의 1분기에는 8.4%의 연간 성장율을 기록했다.[1] 하지만 연방 준비 은행에서는 폴 볼커의 지시하에 인플레이션을 완화하기 위한 조치로 이자율 상승을 선택했고, 그로 인해 1981년 7월부터 1982년 11월까지 미국 경제는 다시 불황에 빠지게 된다.
원인
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데에는 몇 가지 원인이 있다.
- 근본적인 소비 침체
- 경기 침체기에는 기업들이 생산량을 늘리면 총공급 증가로 단기적으로는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듯 하나, 실제로는 침체되어 있는 국민 경제와 소비가 회복 되지 않기 때문에 다시 경기가 하락세를 보이기도 한다.
- 정부 지출 확대로 인한 재정 적자
- 경기가 하락세를 멈추지 않을 때 정부는 경기 회복을 위해 재정 지출을 늘려 확장 정책을 펴는데, 소비가 충분히 늘어나지 않는다면, 늘어난 지출 때문에 재정 적자가 발생해 경기 하락세가 계속 되기도 한다.
- 출구 전략
- 경기가 저점을 기록했다는 것이 정부 및 중앙 은행에게 인식 되면, 경기 침체를 벗어나고자 펼친 확장 정책에 의한 과도한 자금 공급이 유발할 수 있는 인플레이션을 막고자 풀렸던 자금을 다시 회수하는 출구 전략을 너무 일찍 사용하면, 경기가 본격적인 회복 국면을 맞기도 전에 자금이 회수되어 다시 경기가 침체 될 수도 있다.
같이 보기
각주